김경율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이 오는 총선에 불참한다고 4일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동료 한동훈 위원의 '사행'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이 문제는 지난 1월 17일 마포에서 열린 서울시당 신년인사회에서 한 위원장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한
정적과 관련해 김 의원을 언급해 사천 논란이 불거지는 과정에서 드러났습니다.
김 의원의 불출마 결정은 사천 논란을 해소하고 한 위원장의 입지를 다지려는 노력으로 풀이됩니다.
이번 조치로 공천 과정에 대한 한 위원장의 영향력이 공고해져 김 위원장과 함께 당내 결속감이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김 의원은 앞서 김 전 대통령 영부인이 받은 명품 가방을 둘러싼 의혹 속에 여당 내에서 처음으로 사과한 인물입니다.
청와대가 김 의원의 사퇴를 요구했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한 위원장은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청와대와 한 위원장 계파 간에 타협이 이뤄져 김 위원장이 총선 출마를 기권하면서
비상임위원직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김 의원은 같은 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22대 총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며
당의 승리를 응원하기 위한 헌신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서울 마포을 지역구를 중심으로 이번 총선 승리에 초점을 맞춰 비상대책위원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장동혁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이번 결정과 관련해 여의도 당사 밖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의 승리를 염두에 두고 책임감 있게 내린 결정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김 의원의 결정과 관련해 당내에서 사전논의가 없었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인재영입위원회 이철규 공동위원장은 MBN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의원이 마포을 출마가 당 화합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위원장은 김 위원장의 결정이 당·정 갈등 해결을 위한 것이냐는 질문에
이견은 당연한 것이지 반드시 갈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하며 공개적으로 단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힘 영남권 의원은 한 위원장이 공천 단계에서 자신의 '아킬레스건'이라며 사천 논란을 극복한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이 대표는 "김 위원장의 불출마 결정으로 한 위원장은 자신의 중대한 취약점 중 하나를 해소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한 위원
장의 선호에 따른 당 공천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기대되는 '김경율 vs. 김 의원의 불출마로 정청래 후보의 맞대결은 피하게 됐습니다.
윤석열 총장과 한 위원장 간 갈등, 특히 김 씨 관련 명품 가방 문제와 관련한 사과 요구에
김 의원이 개입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이 이 문제에 대한 소신 발언을 이어가면서
향후 '김씨 리스크'를 둘러싼 긴장감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불출마를 선택하면서도 비대위원직을 유지함으로써
김 위원이 앞으로 의도치 않게 갈등을 재연할 수도 있다"며
논란과 관련해 지속적인 불협화음이 발생할 가능성을 강조했습니다.